본문 바로가기
건강지킴정보

출산후 심리적 변화와 역할적응을 알아보자

by 미니레몬티 2022. 4. 18.
728x90

(단순 정보제공을 위한 글입니다. 자세한 상담 및 문의는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상의하시길바랍니다.)

산모의 심리적 변화과정

Rubin은 산욕기에 산모의 심리적 변화과정을 소극기(taking in phase), 적극기(taking hold phase), 상호적응기(letting-go phase)로 나누었다.

 

-소극기

:분만후 첫 2~3일 동안 산모의 특성을 말한다. 새롭게 어머니가 된 산모가 보살핌과 보호를 요구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먹고, 자고 휴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경향이 짙으며 모든 행동이나 사고는 자기중심적이다. 계속적으로 수면을취하고 강한 식욕을 느낄 수 있다. 자기관리를 주도해서 할수 없기 때문에 다른사람이 케어해주기를 바란다. 분만을 다시 천천히 회상하기도하는데 힘들었던 분만과정의 단계를 자세히 알고싶어하며 보통 수다스러워 진다. 바른정보를 들으며 탄생한 아기가 자신과 동등한 하나의 개체임을 이식하게 된다. 산모는 애정과 주의를 받고싶은 욕망을 갖는다. 

-적극기

:산욕3~10일간을 말한다. 이기간 분만의 피로가 점점 회복되고 엄마로서의 새로운 역할을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수행하려고 노력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 산모는 보살핌을 계속해서 받고자 하는 욕구와 아기의 양육책임을 맡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이를 통해 아기를 돌볼 기회가 있을때 열심히 배우려고 노력한다. 신체적 기능면에서 산모는 스스로 건강조절을 위해 걷거나 앉고 싶어 하지만 분만이전만큼의 힘이 없거나 통증이 심해 "내 몸도 맘대로 못가누는데 다른건 할수 있을까?" 와 같은 조바심과 걱정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처음으로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수유법, 목욕, 기저귀 교환법, 아기 돌보는 법 등에 대한 교육을 하고 시범을 먼저 보인 후 산모로 하여금 시도하게 하여 자신감을 갖게 한다. 초산모의 경우 아기를 서툴게 다루게 되어 좌절과 절망에 빠지기도 한다. 이때는 보조자의 도움으로 산모의 서툰면을 충분히 보강해주고 칭찬과 격려를 하여 자신감을 주어야 한다. 새로운 역할을 한다는 책임감이 증가하여 정서적으로 몹시 불안정한 시기에 놓이게 된다. 

 

-상호적응기

:아기에 대한 환상적 이미지를 버리고 실제 모습을 수용하며 과거의 생각과 행동을 정리하여 적응하는 단계이다. 이후 산모는 아기와 상호의존적 과정으로 계속 자신의 새 역할을 규명해 간다.

 

부성 역할 행위

-분만후 아버지의 적응에 대해 지난10년동안 더욱더 관심이 생기며 연구가 필요하다고 인정됨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초기단계이다. 부성적응에 대한 연구는 아버지들은 부모전환기 동안 예측기를 통과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기간동안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수면장애, 불확실성, 아기 양육과 부부 관계의 재형성 등에 대해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아버지는 처음 자신의 아기를 보고 난 후 자존감이 증가되고, 자신이 자랑스럽고 위대하며 성숙한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새로 태어난 아기에게 아버지가 하는 행동들을 관찰해 보면 생후 며칠동안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이 많이 나타난다. 우리 문화에서 신생아는 아버지에게 강한 영향을 미치며, 서로 깊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모아관계 형성

-모아 상호작용단계

:신생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결정적인 환경은 엄마이다. 어머니와의 조기접촉 효과의 중요성이 많은 연구에서 밝혀졌다. Barard(1978)는 엄마의 세가지 책무를 아기의 신호에 반응을 보내는 것, 울 때 달라는 것, 성장촉진 상황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동시에 아기의 책임은 엄마가 알아차리고 반응할수 있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고 하였다.  아기의 행동반응은 부모의 안아주기, 꼭 껴안기, 말하기, 웃어주기 등의 자극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러한 자극은 아기 성장발달에 필수적이다. 모아 상호작용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심화된다.

. 도입단계

 만짐의 단계: 손가락으로 부터 시작하여 손바닥을 거쳐 팔을 만지게 된다.

 마주하는 자세: 아기의 얼굴을 마주하고 눈을 맞추려 하고 말을 건다. 

 감각적 접촉: 시각, 촉각, 청각, 울음, 재채기 소리를 듣고 냄새를 맡아 본다. 도입단계의 접촉경험은 이후 계속적인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친다.

.사귐의 단계

 동일시: 몸의 닮은 부위나 닮은 행동을 식별하고, 자신의 일부로 자신의 것으로 인식한다

 주위 사람을 연관시킴: 행동이나 몸짓 등을 주위사람과 동일시 하며 아기의 사회적 관계망을 그려낸다.

 의미부여: 아기의 고유한 행동이나 모습에 대해 이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한다.

.상호조절단계

 돌보기: 모유수유, 목욕,배설물 처리등을 해주며 정서적으로 달래주려고 한다.

 아기를 인식함: 어머니의 요구나 소망과 아기들간의 차이점을 발견하고 고유한 존재임을 인식한다.

 아기 요구파악: 아기의 특징과 요구를 분명히 파악하게 된다.

 상호 유희: 엄마는 아기를 재밌게 해주려 노력하고 이를 즐거워 한다.

 아기의 고유성 격려: 아기가 하고 싶은대로 하게 하며 이를 긍정적으로 자극한다.

 

위의 과정에서 엄마는 필요시 상호통제를 할수 있어야 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