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정보제공성 게시글입니다 자세한 문의는 가까운 의료기관과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경관무력증
정의:임신중 진통이나 자궁 수축 없이 자궁경관이 개대되어 임신이 유지 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원인:외상에 의한경우(경관열상, 소파술, 원추조직절제술, 전기 소작법 등), 선천적 요인에 의한경우(경관이 짧거나 자궁의 기형과 함께 나타남), 디에틸스틸베트롤(DES: diethylstilbestrol) 에 노출되어 자궁 경부가 비정상적으로 발육되었을 경우에도 나타난다.
증상 및 진단:임신 중기 이후에 무통성 자궁경관 개대가 있으면서 양막 파열과 함께 조산으로 배출된 태아는 대부분 생존력을 가지지 못한다. 진단은 질경검사,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하여 자궁 경관이 짧아지거나 깔때기형 변화가 있는지를 관찰한다.
의학적 관리: 경관무력증은 경관의 이완과 개대를 예방하기 위해 경관주위를 묶어주는 봉합법을 시도한다. 이러한 시술은 태아와 임부의 내분비계가 정상이고, 양막이 잘 유지되어있고, 경관이 3cm이내로 개대되고, 경관이 50%이상 손실되지 않았을 때 가능하다. 시기는 약 임신14주 경이다.(초기에 교정할시 자연유산으로 봉합끈을 제거 할 경우도 있기때문에 시행하지 않는다.) 수술을 통해 약 80~90%가 임신에 성공하며 임신37주에 제거한다. 수술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쉬로드카술(Shirodkar technique): 자궁경부 전후면 점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자궁 내구쪽으로 박리한 후 봉합사가 자궁경부 점막 내로 통과하여 경부를 둘러 묶는것으로 봉합사가 질 내로 노출되지 않는다. 결찰의 위치가 좋고 경관이 닫힌 상태로 임신이 지속되면 다음 임신을 위한 결찰을 유지하기 위해 제왕절개를 선택하여 분만할 수 있다.
-맥도날드술(McDonald technique): 봉합사가 자궁경부의 모퉁이 네 곳을 통과하여 자궁경부를 돌려 뭈는 것이다. 4개의 위치에서 봉합사가 일부 질내로 노출된다. 이 봉합사는 분만이 다가오면 풀어주어 분만을 할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변형 쉬로드카술:이는 기존 쉬로드카술에 비해 경부의 손상 및 출혈이 적으며 성공률도 85~90%이다. 과거 맥도날드법이 실패한경우, 경부의 구조적이상이 있을경우 시행한다. 봉합사가 자궁경부 전면에서 점막을 통과한뒤, 후면에서 질 내로 노출된다.(경부 앞쪽은 쉬로드카술, 뒤쪽은 맥도날드술로 봉합)
수술후에는 난막파열(만약 난막파열이 일어날 시 감염을 막기위해 즉시 끈을 제거하고 수정물의 완전배출을 해야한다.), 자궁수축(자궁수축만 있을시 수축 억제제:ritiodrine hydro-chloride=MgSO4를 주어 자궁을 이완시킨다.)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자궁수축과 난막파열이 함께있다면 자궁의 이완이 필요없다.
자궁외 임신
정의:수정란이 자궁강 외에 다른부위에서 착상하는 것을 말한다. 난관임신(95%), 복강(3~4%), 난소(1%), 경관(1%) 임신 등이 있다.
난관임신의 경우 난관벽은 탄력부족으로 인해 파열된다. 파열시 수정된 내용물이 피와 함께 난관채를 통해 복강내로 흘러 나오게 되는데 이를 난관유산(tubal abortion)이라 한다. 보통 12주 이내 나타난다. 때때로 임신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수정란이 난관에서 자궁벽을 통화하며 지속되는 것으로 간질부 임신(interstitial pregnancy)이라 한다. 수정된 내용물이 파열되어 복막에 착상한 것은 복강임신이라 하며 아주 드물게 개복수술로 살아있는 아기를 분만시키기도 한다.
원인: 자궁외 임신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골반 내 염증의 과거력이 있는경우, 불임수술-난관수술을 받은 경우, 난관의 선천성 기형, 프로게스테론이 함유된 자궁 내 장치 사용
증상:대부분 수정란이 파열되기전까지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파열후 골반부위의 압통과 비정상적인 질에서의 출혈이 있을 수 있다. 난관임신시 대게 마지막 월경6~8주 정도에 수정란파열되며 증상이 나타난다. 때로는 어지러워 쓰러지고, 목이나 어깨의 통증을 호소한다. 견갑통을 호소하기도 하고 매우 드물게 Cullen's sign(제와부 근처에 점상출혈이 나타나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출혈로 인한 저혈량쇼크에 대비하기 위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진단 및 관리: 옛날엔 수술이 유일한 치료방법이였자만 이제는 MTX(methotremate)이란 약물만으로 관리가 가능해졌다. MTX(간기능 및 신기능 저하, 혈액질환 환자에게 금기)를 투여하고 있는 환자가 알코올을 마시거나 엽산이 함유된 비타민을 복용하게 될시 부작용에 노출될 위험이 커지므로 유의한다. 수술의 경우 혈역동학적(hemodynamic)으로 안정되어 있으면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을 하게 된다.
'건강지킴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시 출혈문제, 원인과 관리 (0) | 2022.03.29 |
---|---|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원인과 관리 (0) | 2022.03.28 |
유산이란? 유산의 원인과 종류 (0) | 2022.03.26 |
고위험 임신이란? 원인과 관리법 (0) | 2022.03.25 |
태아 심장박동 모니터링법 정리 (0) | 2022.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