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지킴정보58

제왕절개 분만 후 감염(분만후 조심해야할 감염들) (단순 정보제공성 글입니다 자세한 상담 및 문의는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제왕절개 분만 후 수술부위 감염 증상: 상처감염의 첫 징후는 보통 수술 후 48시간 이내에 체온상승과 절개 부위에 경화, 발적, 통증이 나타난는 것이다. 혐기성 감염의 경우 악취가 나는 특징이 있다. 조직에서 가스가 배출되고, 상처부위에 조직 괴사가 온다. 치료: 수술전에 예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한다. 치료의 경우 광범위 항생제 치료를 하고, 절개배농, 괴사조직과, 가스배출조직을 절제해 낸다. 상처부위는 개방하여 며칠간은 거즈를 매일 넣어주어 배농을 촉진하고 정맥 내 수액공급을 한다. 관리: 정맥으로 수액공급을 해주고, 항생제를 투여하며, 드레싱을 교환해준다. 통증으로 활동에 제한을 받고 신생아와 분리되어 모아애.. 2022. 4. 25.
산후 출혈의 종류, 원인 및 관리 (단순 정보제공성 글입니다. 자세한 상담 및 문의는 전문기관에서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전기 산후출혈(early or primary postpartum hemorrhage)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출혈량이 매우 많고 이환율이 높다. 원인 -자궁이완: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 자궁의 과다 팽만이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자간전증이 있는 임산부인 경우 임신으로 인한 정상적인 과혈량증이 없기 때문에 정상적인 출산 후 일어나는 혈액손실에도 견디기 어려울 수 있다. 출혈의 위험이 있는경우 수혈을 바로 시작할수 있게 정맥로를 미리 확보해 놓는다. 태반 만출 후 자궁저부가 단단히 수축되지 않는다면 수분내에 갑자기 다량의 출혈이 초래된다. 복부 촉진시 부드럽고 물렁물렁한 자궁이 만져진다면 자궁이 수.. 2022. 4. 23.
수유시 젖 보관과 엄마의 관리 (단순 정보제공성 게시글입니다. 자세한 상담 및 문의는 전문기관에서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젖 짜기와 젖 보관: 직접 젖을 먹을수 없을 경우 아래의 경우 젖을 짜서 보관할 필요가 있다. -유방이 울혈되어 있을 때 -아기가 미숙아 이거나 질환이 있어 입원해 있는 경우 -어머니의 직장이 집과 멀어 모유를 저장해서 먹여야 하는 경우 -유두가 심하게 아프거나 균열된 경우 -다른 사람이 아이를 돌보기 때문에 직접 먹일수 없는 경우 (위와 같은 경우 젖을 짜는 방법은 손으로 직쩝 짜는 방법과 전자동 유축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손으로 젖짜기 1.손을 씻고 젖을 담을 용기를 준비한다. 따뜻하고 습한 타월을 가슴에 얹어 유즙분비를 촉진한다. 양손을 둥글게 만들어 유방주위를 부드럽게 마사지 한다. 2.흉벽에서 유두.. 2022. 4. 22.
모유수유의 이점 및 방법 모유수유의 이점 -아기: 모유를 통한 위장계 성숙증진과 면역체 습득으로 설사, 장염, 크론병, 소아지방변증 등의 가능성을 낮춘다. 면역효소를 모유를 통해 전달 받으므로써 중이염이나 호흡기계 질환을 예방해 준다. 알레르기 질환으로 부터 보호를 할수 있으며, 급성 영아 돌연사(SIDS),임파종, 인슐린 의존성 당뇨로 부터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지발달과 하악 발달을 돕는다. -수유모: 난소, 자궁, 유방암에 걸릴 위험을 낮춘다. 옥시토신 분비를 통해 자궁 퇴축이 증진되어 산후 출혈이 감소한다. 임신전 체중으로 빠르게 회복된다. 애착을 형성하고 모성역할을 빨리 획득하게 한다. 모유수유를 한 여성은 중년기 이후 골다공증 발생위험률이 줄어든다. 모유수유 촉진하는 법 출산 후 30분 이내에 모유수유를 할 .. 2022. 4.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