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지킴정보

모유수유의 이점 및 방법

by 미니레몬티 2022. 4. 21.
728x90

모유수유의 이점

-아기: 모유를 통한 위장계 성숙증진과 면역체 습득으로 설사, 장염, 크론병, 소아지방변증 등의 가능성을 낮춘다. 면역효소를 모유를 통해 전달 받으므로써 중이염이나 호흡기계 질환을 예방해 준다. 알레르기 질환으로 부터 보호를 할수 있으며, 급성 영아 돌연사(SIDS),임파종, 인슐린 의존성 당뇨로 부터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지발달과 하악 발달을 돕는다.

 

-수유모: 난소, 자궁, 유방암에 걸릴 위험을 낮춘다. 옥시토신 분비를 통해 자궁 퇴축이 증진되어 산후 출혈이 감소한다. 임신전 체중으로 빠르게 회복된다. 애착을 형성하고 모성역할을 빨리 획득하게 한다. 모유수유를 한 여성은 중년기 이후 골다공증 발생위험률이 줄어든다.

 

모유수유 촉진하는 법

출산 후 30분 이내에 모유수유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어미니에게 수유방법과 모유수유를 지속하는 법을 알려주고, 아이와 떨어져 있더라도 모유수유를 지속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도 알려주어야 한다. 

의학적 문제가 없다면, 신생아에게 모유 외에 물이나 음료를 주지 않는다. 

모유수유를 하는 아기에게 다른 음료나 인공 젖꼭지를 물리지 않는다.

 

-수유의 시작

:태반이 만출되고 나면 프로게스테론이 급속하게 하강하여 유즙분비가 시작되어 모유를 계속적으로 분비하게 된다. 유방은 유즙으로 차게되고 출산후 30시간 이내까지 초유가 나오게 된다(초유는 임신 말기에도 소량 분비 될 수 있다.) 분만 후 초유의 양은 증가하여 산후 3~4일에 많이 생산된다. 초유는 성유에 비해 단백질, 무기염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고 지방, 탄수화물은 적게 함유하고 있다. 분만후 30~40시간 사이에 유즙의 구성이 급속하게 변화하게 되는데 이 기간동안 유방은 울혈되어 모유수유하는 어머니의 경우 24시간동안 8~12회에 걸쳐 아기에게 자주 수유를 하여 유방팽만으로 인한 불편감을 완화하도록 한다. 

 

-사출반사

:수유가 잘 이루어지고 반사기전이 자주 되풀이 되는 수유모의 경우 젖먹일 시간이 가까워 지거나 옆방에서 아기가 울기만 해도 유방에 짜릿한 감각을 느끼게 된다. 즉 아기에게 유두 물리기, 유두 문지르기, 아기와의 접촉, 아기를 보거나 울음소리를 듣는것, 아기를 생각하는 것만으로 젖이 분출된다면 이를 사출반사라고 말한다.

 

수유 관리

-수유자세

.요람식자세:앉아서 먹이기

수유할때 가장 일반적인 자세로서 젖물리기 쉽고 수유하기 좋은 자세이다. 어머니의 등이나 어깨 뒤, 팔꿈치 아래, 그리고 무릎 아래 베개를 사용한다. 엄마는 팔꿈치 안쪽에 아기의 머리를 안고 엄마의 팔뚝으로 아기의 등을받쳐주고 손으로 엉덩이나 허벅다리를 감싼다. 이때 아기의 귀, 어깨, 엉덩이가 일직선상에 있어야 한다. 이 자세의 단점은 엄마가 아기머리를 충분히 조절할수 없다는 점이다.

 

.미식축구공 잡기자세:앉아서 먹이기

아기의 머리를 잘 지지하고 조절할 수 있어 유방이 크거나 젖꼭지가 납작하거나 함몰된 경우와  젖을 빠는 힘이 약한 미숙아에게 좋은 자세이다. 제왕절개술로 분만한경우 수술부위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젖을 먹일 수 있다. 아기의 몸을 어머니의 팔과 평행하게 하고 어머니는 아기의 어깨를 받쳐주고 귀 밑의 머리쪽을 잡으며 다리는 어머니의 옆구리에 감듯이 안는다. 

 

옆으로 누워서 먹이기: 수유시 엄마가 쉴수 있고 회음부 불편감과 부종이 있을 때 좋은 자세이다. 엄마가 옆으로 눕고 머리 밑, 어깨 뒤, 허벅지 밑으로 베개를 받치면 편하다. 어기는 어머니를 향해 옆으로 눕는다. 수유하는 동안 작은 베개를 넣어 지지할 수 있다.

 

-젖 물리기: 젖 물리기를 잘하기 위해 엄지손가락으로 유방위,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유룬의 아래쪽을 지지하는 C-hold 법을 사용한다. 아기의 입이 유두 바로 앞에 오게 한다. 유두로 아기의 입을 자극하고 아기이 입이 크게 벌어지고 혀가 아래로 향할때 재빨리 젖을 물려야 한다. (아기가 유방 가까이 오도록 해야함, 유방을 아기에게 가까이 대는것이 아님)

 

-젖의 성분 변화: 젖을 먹이는 동안 성분이 변하기 때문에 한쪽젖을 끝까지 먹게 한 후 다른쪽의 젖을 먹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젖을 먹이기 시작할때 나오는 젖은 전유(fore milk)라 하는데 전유는 양은 많으나 유당이 높고, 지방이 적다. 젖먹기를 마칠 무렵 젖은 후유(hind milk)라 하는데 양은적지만 지방함량이 높아 높은 칼로리와 포만감을 준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