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지킴정보

혹시 나도? 산후 우울에 대해 알아보자

by 미니레몬티 2022. 4. 19.
728x90

(정보제공성 글입니다 자세한 상담및 문의는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산후 우울증 테스트 도구

에딘베러 산후 우울 척도(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EPDS): 10문항으로 최근 1주일 동안의 증상을 0점에서 3점으로 자가평가 하여 총점을 환산한다. 총점이 12~13점인 경우 산후우울증을 의심하며 전문적인 도움을 받도록 한다. 

산후 기분(EPDS-k):오늘이 아닌 지난 1주일동안 어떻게 느꼈는지 표시하세요
1.웃을 수 있었고, 사물의 재미있고 흥미로운 면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예전과 똑같았다(0)
 -예전보다 조금 줄었다(1)
 -확실히 예전보다 많이 줄었다(2)
 -전혀 그렇지 않았다.(3)

2.어떤것을 은근 기쁘게 바라거나 기다렸다.
 -예전과 똑같았다(0)
 -예전보다 조금 줄었다(1)
 -확실히 예전보다 많이 줄었다(2)
 -전혀 그렇지 않았다.(3)

3.어떤일이 잘못될 때면 나 자신을 필요이상으로 탓했다.
-거의 항상그랬다(3)
-그런 편이었다.(2)
-그다지 그렇지 않았다.(1)
-전혀 그렇지 않았다(0)

4.별다른 이유없이 불안하거나 무언가를 걱정한 적이 있었다. 
-전혀그렇지 않았다.(0)
-거의 그렇지 않았다(1)
-가끔그런적이 있다(2)
-자주 그랬다(3)

5.별다른 이유없이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느낀 적이 있었다.
-꽤 자주 그랬다(3)
-가끔 그랬다(2)
-그다지 그렇지 않았다(1)
-전혀 그렇지 않았다(0)




6.여러가지 일들이 힘겹게 느껴졌다.
-대부분 그러하여 일을 전혀 감당할 수 없었다.(3)
-가끔 그러하여 평소처럼 일을 감당할수 없었다.(2)
-대부분의 일을 잘 감당 하였다.(1)
-평소처럼 일을 매우 잘 감당하였다.(0)

7.너무 불행하다 느껴 수면을 잘 취할 수 없다.
-대부분 그랬다.(3)
-가끔 그랬다.(2)
-자주 그렇진 않았다.(1)
-전혀 그렇진 않았다.(0)

8.슬프거나 비참하다 느꼈다.
-대부분 그랬다(3)
-가끔 그랬다.(2)
-그다지 그렇지 않았다.(1)
-전혀 그렇지 않았다.(0)

9.스스로를 불행하다고 느껴 울었다.
-대부분 그랬다.(3)
-자주 그랬다.(2)
-아주 가끔 그랬다.(1)
-전혀 그렇지 않았다.(0)

10.자해하고 싶은 충동이 들었다.
-자주 그랬다.(3)
-가끔 그랬다.(2)
-거의 그런적이 없었다.(1)
-전혀 그렇지 않았다.(0)


산후 정신장애(postpartal mental disorder)

우울증세를 포함하는 증상으로 발생시기, 증상의 정도, 이상행동 양상, 지속기간등 여러 변수에 의해 산후 우울감, 산후 우울증, 산후 정신병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산후 우울감(postpartum blues)

:정상 상태로 간주한다. 산후의 우울증세중 가장 흔한 형태이며 산모의 50~80%가 경험한다. 출산이라는 사건에 대한 일시적인 적응장애의 한 형태이다. 대개 분만후 2~4일에 발생하며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생리적인 원인이 크다. 호르몬의 변화가 뇌속의 자율신경에 영향을 주어 감정이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이로인해 산모는 불안하고 잠이 잘 오지않고 자꾸 울고싶어지며, 식욕이 떨어지거나 배우자에게 적대감을 가지는 등 부정적 감정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산후 4~5일이면 대부분 자연히 해소된다.

 

-산후 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

:출산 여성의 7~30%에서 발생한다. 발생시기는 1년동안 어느때나 발생할 수도 있지만, 산후4주가 가장 위험하다. 최근에는 산모의 산후 우울이 아기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울증 산모의 신생아는 혈액내 코티솔 수치가 증가되어 있어 성장후 스트레스에 과민반응을 보이는 체질을 갖게 된다는것이다. 산후 우울증의 주된 증상은 전신피로와 아픔을 호소하며, 안절부절 못하고, 기억력이 저하되고, 울거나 기분이 자주 변하고, 엄마로서의 역할수행과 출산에 대해 죄의식이 증가한다. 우울증이 너무 심한경우 자살을 계획할 수도 있다. 정신과 의사의 도움을 받아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새로운 모성책임과 역할에 대해 산모의 공포와 걱정에 초점을 두고 환자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며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고, 안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산후 정신병(postpartum psychosis)

:흔하진 않지만 우울과 망상을 겪고, 산모가 아기 또는 자신을 해치려는 생각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행동으로 옮길수 있기 때문에 주의깊게 관찰 하여야 한다. 산후 정신병은 기분장애, 특히 양극성 장애 및 주요 우울장애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발생빈도는 분만 1000명당 1~2명으로 일반적으로 출산후 1~3개월 이내에 발생한다. 환자는 망상과 환각(출산이나 신생아의 건강 및 성욕에 관함)을 경험하기도 하며, 정신불안정, 부조리한 언동, 과격한 행동, 조증 행동을 보인다. 현실감이 없거나 지남력 장애를 보이기도 한다. 산모는 아기가 죽었거나 아기에게 결함이 있거나, 출산자체를 부인하거나, 결혼하지 않았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아기때문에 피해를 보고 있다는 망상으로 자신이나 신생아에 대해 심한 분노감을 가진다. 치료의 경우 병원에서 항우울제, lithium carbonate, 항정신병 약물등을 투여한다. (수유중일때는 이러한 약물을 처방하지 않는다.) 급성기 회복후에는 반드시 가족이 도와 재적응을 해야햔다. 남편과 가족들의 지지로 인해 산모의 스트레스가 감소되면 예후가 좋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