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정보제공성 글입니다 자세한 상담 및 문의는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자궁파열(rupture of uterus)
-원인:
.과거 제왕절개나 자궁관련 수술로 인해 내막이 얇아진 경우
.옥시토신과 같은 자궁수축제를 부적절히 사용한경우
.분만진행중단이 되었으나 수축은 계속되어 자궁하부가 파열된 경우
.다산부의 분만인 경우
.경관이 완전 개대되기 전에 감자 분만을 실시한 경우
.이상태위의 무리한 교정을 하는경우
.자궁저부가 지나치게 압박을 받은 경우
-증상
.불완전 파열의 경우 (자궁외막까지 찢어지진 않음): 수축이 오는 동안 복통이 있고, 수축은 계속되나 경관 개대의 진전이 없다. 경미한 질출혈로 쇼크의 증세가 서서히 나타난다. 구토, 어지러움, 복부압통 증가, 저긴장성 자궁수축, 분만 진행부전 등이 발생한다. 태아의 경우 후기 감퇴양상이 나타나고, 심박동의 다양성이 감소되며, 심박동의 변화가 있다. 혈액손실현상이 심해질경우 태아심음이 들리지 않는다.
.완전 파열의 경우(근층, 자궁외막까지 찢어짐): 자궁수축 도중에 갑자기 날카로운 복부통증을 호소하고 복부 팽만감, 빠르고 약한 맥박, 혈압하강, 차고 창백한 피부등의 저혈량 쇼크증세가 나타난다. 태아심음은 중단되고 태아촉진이 용이해진다.
-관리
예방이 가장 좋은 치료법이다. 이전에 재래식 제왕절개(classical Cesarean incision)를 한 경우 질식분만을 시도하지 않도록 조언한다. 옥시토신을 투여한 유도분만시 자궁과다수축을 감시한다. 자궁파열이 발생한 경우 급히 수액공급을 시작하고 혈액제제를 수혈하며 산소를 공급하고 즉각적으로 수술을 준비한다. 수술시 개복후 먼저 하복부 동맥을 결찰한다. 불완전 파열을 조기 발견할 경우 개복술로 태아를 출산하고 자궁의 열상을 봉합하고 수혈로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완전 파열시에는 보통 심한 출혈로 균 감염의 위험이 있어 대개 자궁 적출술을 실시하고 수혈한다. 수술 후에는 항생제를 대량 투여하여 복막염이나 패혈증을 예방한다.
자궁내번증(inversion of uterus)
:태아만출후 태반 박리 전후에 자궁이 뒤집히는 현상(뒤집혀서 몸밖으로 자궁이 나옴)
-원인: 자궁수축이 없을때 태반의 제대를 무리하게 잡아당기거나, 자궁이완시 태반배출을 위해서 저부를 심하게 압박하여 유발된다. 자궁근종이 있거나, 자궁무력증, 비정상적 유착태반, 급속분만, 다산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증상:초기증상은 출혈이며 통증을 호소한다.
-관리: 자궁내번증이 발생하면 우선 정맥으로 수액공급을 시작하고, 산소를 투여하면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한쪽의 손바닥으로 저부를 지지하고 다른손은 경관 주위를 누르며 손바닥으로 받치고 있는 쪽으로 자궁저부를 서서히 밀어 넣어 자궁을 골반강 내로 복구(넣어줘야)하는 매우 시급한 처치가 요구된다. (이 방법은 골반 이완이 충분히 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출혈만 증가할수 있기때문에 무리하게 진행해선 안된다.) 산모의 통증이 너무 심해 쇼크의 위험이 있으므로 모르핀을 투여한다. 자궁복원후 자궁수축제를 투여하여 자궁을 수축시키고, 산소를 공급해주고 항생제 투여로 감염을 예방한다.
혈종(hematoma)
:혈관손상으로 질이나 회음부 결합조직 내로 출혈이 일어나는 것으로 질이나 음순은 조직이 약해 250~500ml정도의 혈종을 자주 볼 수 있다.
-원인:아두만출시 압박, 조직확장시 혈관파열, 회음주사, 봉합시 혈관을 뚫어버림, 기계분만시
-증상
.혈종부위 통증이 심하다.
.음순부위 혈종은 눈에 띈다.
.질 내 혈종인 경우 혈종의 압박으로 산부가 변의를 느낀다.
.소변보기가 힘들다.
.항문진찰, 내진시 촉지된다.
.출혈과 통증으로 쇼크에 빠진다.
-관리: 혈종이 작거나 점점 커지지 않는다면 진통제를 투여하고 혈종 흡수를 위한 효소제를 투여한다. 냉찜질을 통해 혈관을 수축 시킬 수 있다. 혈정이 크거나 점점 심해진다면 의사에게 의뢰하여 절개한후 피를 빼내고, 도뇨관을 유치하고 패킹(24시간 이내 제거)한다. 감염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여하고, 상처의 재생을 돕는 좌욕과 백열등요법(heat lamp)을 자주 실시하여 상처치유를 촉진한다.
'건강지킴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산후 퇴원전 산모가 알아야 할 것들 (0) | 2022.04.15 |
---|---|
출산 직후 산모의 신체 관리 (0) | 2022.04.14 |
임신시 양수와 태반, 제대(탯줄)문제 알아보자! (0) | 2022.04.12 |
응급시 분만법과 과숙아 분만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4.11 |
조산과 조산아, 자세히 알아보자! (0) | 2022.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