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지킴정보

출산 직후 산모의 신체 관리

by 미니레몬티 2022. 4. 14.
728x90

(단순 정보제공성 글입니다. 자세한 상담및 문의는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출산 직후 산모의 신체 관리는 정상 질 분만의 경우 다음과 같다.

 

신체적 관리

-자궁퇴측(수축)관리:분만후 24시간 동안 자궁저부 검진을 통해 자궁이 이완되어 있는지 파악하고, 자궁이완시 자궁이 본래강도로 회복될 때까지 틈틈이 자궁저부마사지(uterine massage)를 시행한다. 이때 출혈의 양을 기록하고 자궁이 수축되지 않거나, 수축된 후에도 출혈이 있다면 자궁수축제를 투여한다.  정상적으로 자궁이 수축하고 있는지 혹은 자궁저부의 높이의 무변화, 자궁저부 무기력, 자궁통증, 지속되는 붉은 빛의 출혈 등이 있는지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산후통(after pain) 관리: 생리통과 유사하고 산후 2일 경까지 나타나는데, 경산모와 자궁이 지나치게 이완된 산모에게 흔하다. (초산모는 자궁이 강직성 수축을 하기 때문에 산후통이 없지만 경산모의 경우 자궁이 간격을 두고 퇴축하기 때문에 산후통이 발생한다) 모유수유시 산후통을 심하게 호소할수 있는데 이는 신생아가 수유시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자궁수축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이시기에는 산모에게 산후통의 원인을 알려주고 통증이 출산 후 3일 뒤면 완화된다는 안내를 해준다.  산후통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방광비우기, 자궁저부 마사지, 고온팩(온찜질) 적용, 배깔고 눕기, 다리들어 올리는 운동 등을 교육한다. 진통제가 처방되는 경우 수유30분전 투여하여 수유시 발생하는 산후통의 불편감을 완화한다.

 

-배뇨 및 배변관리: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여 체액불균형의 문제를 확인한다. 분만후 배뇨곤란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배뇨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방광팽만과 감염의 위험을 야기한다. 배뇨를 유도하기 위해 방광팽창정도를 자주 관찰하고, 산모가 화장실에 가도록 도와주고, 필요시 침대위에 변기를 제공해 준다. 흐르는 물소리를 들려조거나 물에 손을 담그는것, 회음부에 따뜻한 물을 흘려주어 배뇨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흘려준 물의 양을 제외한 배뇨량을 기록한다. 분만 후 4~6시간 후까지는 배뇨하도록 하고 만약 힘든 상황이라면 유치도뇨관을 삽입한다. 배변의 경우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 분만 후 처음 며칠간은 배변 완화제나 하제등을 사용하며 수분 섭취와 섬유질 섭취도 권장한다. 장음이 들린 시간과 첫 배변을 기록하고 2~3일째에도 배변하지 못하면 관장을 시행한다. 

 

-회음부 관리(Perineal care)

.냉요법:얼음주머니를 30분 정도 적용하는데 이때 30~60분 정도의 간격을 둔다, 24~48시간 까지만 냉요법을 적용한다.

.습열요법(좌욕): 한번에 20분씩 하루 두세번 좌욕하고, 물의 온도는 38~41도가 적당하다. 산모에게 좌욕하는 방법을 교육하여 가정에서도 계속 습열 요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건열요법: 15~20분 동안 회음부에 따뜻한 열등을 쬐어 주는 것으로 하루 세번정도 좌욕후 약 20분 동안 적용한다. 이때 50~70cm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유방관리: 깨끗한 물로 유두를 청결하게 하고, 수유의 경우 초유가 분비되는 첫날 유즙 분비가 원활히 되지 않더라도 젖이 부드러울때 유븝분비 촉진을 위해 신생아에게 3시간마다 3~5분정도 젖을 물리도록 지도한다. 울유의 정도는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상당한 통증을 호소한다. 울유로 인해 체온이 상승할 수 있으나 38도 이상이라면 감염이나 다른 원인이 있을수 있다. 관리법으로는 냉온 찜질, 양배추 잎을 유방에 직접 붙이는 방법, 유방 마사지, 모유 유출 등이 있다. 가슴을 마사지 하기 전에 뜨거운 샤워나 뜨거운 물수건으로 유방을 풀어준다. 모유수유를 중단할 때는 울유가 되어도 젖을 짜지말고 그대로 두면 유즙의 생산이 억제되고 며칠내에 서서히 없어진다는 것을 안내한다.

 

-조기이상(Early ambulation): 특별한 부작용이 없다면 분만후 4~8시간 후 산모가 침대에서 일어나 앉거나 걸을수 있도록 권장한다(조기이상).이는 순환을 돕고 혈전 정맥염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처음 침대에서 일어날때는 침대에 잠시 걸터 앉아 있다가 보조자를 지지하며 천천히 일어나 몇걸음 걸어본다. 만약 산모가 척수마취를 한 경우 침대에 적어도 8시간정도 똑바로 누워 있어야 한다. 

 

-예방접종: 산모에 따라 풍진백신(rubella vaccine)과 Rho(D)면역 글로불린 등을 예방접종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