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제공성 글입니다. 자세한 상담 및 문의는 가까운의료기관에서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산욕기: 분만 직후부터 6주(자궁회복이 이루어지는시기 )간을 말한다. 모든 신체기관이 임신이전으로 되돌아가는 시기로, 정상적인 신체 적응 과정이다. 산후의 회복, 중년이후의 건강에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생식기계
-자궁의 변화
:자궁의 수축: 완전 회복까지 6주가 소요된다, 회복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후기 산후출혈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자궁퇴축 변화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자궁근 섬유의 수축과 견축-자궁섬유가 짧고 단단해 진다., 2.자궁벽세포의 단백물질들의 자가분해와 용해, 3.자궁내막의 재생(상처가 많았던 착상부위의 회복, 태반부착부위는 7주가 되어서야 완전히 회복됨)]
-자궁저부의 높이
자궁 퇴축 정도에 따라 저부의 높이는 변한다.
.분만직후: 배꼽아래
.분만 12시간 후: 배꼽 위(제와 위): 분만으로 눌렸던 골반저부 근육과 방광근육의 긴장도가 회복되기 때문
.분만 후 첫날:배꼽1cm 아래
.분만 후 10~12일: 복벽에서 만질 수 없음
-오로(lochia)의 변화
.적색오로(lochia rubra:빨간오로):분만 후 ~3일, 주로 혈액성분이 섞여있고 태반부착부위로 부터 탈락된 세포조각, 탈락막 조각, 양수, 솜털, 태지, 소량의 점액을 포함한 분비물이 나온다.
.갈색오로(lochia serosa):4-10일, 혈액성분이 줄어들고 혈장성분이 대부분으로 백혈구도 섞여나오는 갈색분비물이 나온다.
.백색오로(locia alba):10~20일, 색이 점점 흐려지고 양도 줄어 크림색이 된다. 주로 백혈구, 유기체, 자궁경부 점액등이 포함되어 있다.
오로는 3주가 지나면 거의 사라진다.
-자궁경부(cervix):6~12주사이 완전히 회복된다. 경산부의 경우 자궁경부 회복시 열상으로 인해 옆으로 길다란 모양으로 흔적이 남아 물고기 입모양이 된다고 하여 Fish mouth라고 부르기도 한다.
-질과 회음부: 질하부의 열상은 산후 6주에 회복된다. 질의 추벽(rugae)은 분만후 4주에 회복되며 주름이 늘어나고 산도가 넓어져있다.
-난간과 인대: 인대는 2~3개월 지나야 완전히 회복된다.
심혈관계
-혈액량: 임신중 혈액량은 약 1000ml가량 증가한다.(분만시 실혈과 분만후 이뇨작용을 대비하기 위해서). 정상분만의 경우 400~500ml정도 재왕절개의 경우 1000ml정도 실혈이 된다.
-분만후 12~48시간 사이 일시적으로 혈액량이 15~30%까지 증가한다.(분만후 혈관외에 있는 액체의 집합과 이뇨작용의 결과로 초래된다. 이로 인해 적혈구 용적률 HCT가 떨어지고 심박출량은 증가한다.)
-4주경 임신 전 상태인 4L정도로 회복된다.
-혈압과 맥박: 산후 48시간 이내 내장 울혈(팽창)으로 인해 기립성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산후 24~48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생리적 서맥(40-50회/min)이 나타날 수 있으며 출산후 3개월이후 임신 전 상태로 회복된다.
조혈계
Hb,Hct:분만 후 3~7일 상승한다. (이뇨작용으로 혈장이 배설된다)
백혈구 증다증: 산후 10~12일에 20000~30000/mm3까지 증가한다. 수치증가로 인해 산후 감염과 식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응고인자: 섬유소원과 트롬보플라스틴은 산후 3주까지 증가하여 산후 혈전성 색전증의 소인이 된다. 따라서 조기이상 격려가 중요하다.
호흡기계
호흡기능은 산후 6개월경 임신 전 상태로 회복이 된다(가장 늦게 회복). 복압의 변화와 자궁크기의 감소로 흉곽용적이 증가한다. 분만 후 프로게스테론의 저하로 산욕기 탄산과다증이 초래 될 수 있다.
비뇨기계
요도와 방광: 분만히우 방광근 강도가 떨어지게 되어 방광의 용적이 늘어나고 배뇨반사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산후 이뇨현상으로 방광이 과도 팽창하기 때문에 요실금과 잔뇨증을 초래 할 수 있다. 따라서 분만 8시간 이내에 자연배뇨를 격려해야 한다. 방광근의 강도는 산후 5~7일경에 회복된다.
당뇨:산욕 초기 산모의 약 20%에서 발생한다.(주로 수유모)
단백뇨(경증:+1):분만후 1~2일 자궁의 자가분해 과정에서 단백질이 배설될 수 있다.
아세톤뇨: 분만 중 탈수와 지방대사 변화로 나타난다.
근골격계
골반근육 이완: 직장류, 탈장, 자궁탈수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골반저근훈련으로 골반근육의 회복을 도모하는 것이 좋음.
복벽: 복벽의 탄력성은 회복되나 임신선(갈색->흰색으로 바뀌어 눈에 잘 띄진 않는다)영구적으로 남는다.
복강내 구조들의 회복은 6주가 소요된다.
체중감소
분만과 산욕기를 통해 10kg 감소
-5kg:태아, 태반, 양수, 실혈 등
-4kg: 오로, 발한, 이뇨작용 등
'건강지킴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도결석 깊게 이해하기: 원인부터 치료법까지 (0) | 2023.09.25 |
---|---|
원숭이 두창이란? 현재 상태는? (8) | 2022.05.24 |
제왕절개 분만 후 감염(분만후 조심해야할 감염들) (0) | 2022.04.25 |
산후 출혈의 종류, 원인 및 관리 (1) | 2022.04.23 |
수유시 젖 보관과 엄마의 관리 (0) | 2022.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