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기간중 태아 발달은 배아 전기(마지막 월경부터 4주간), 배아기(마지막 월경의 첫날부터 5~10주), 태아기(마지막 월경 10주~출산) 3단계로 나뉜다.
수정
하나의 정자와 난자가 융합하는 과정. 수정을 하기전 정자는 수정능력 획득(정자의 머리부분의 보호막을 벗어 정자결합 수용체가 노출)과 선체반응(머리부분 앞에 작은 구멍을 뚫어 용해효소를 분비하여 난자를 둘러싸고 있는 방사관과 투명대를 뚫고 들어가는 것)이 일어난다. 정자가 난자에 닿아 세포막에 밀착하게되면 난자의 세포질이 밀려나며 정자를 흡수한다. 이때 투명대 반응(다른정자가 난자에 들어오지 못하게 함)이 나타난다. 핵이 융합되고, 염색체가 합체되어 다시 46개로 복귀되는데 이때의 수정란을 접합자라고 한다. (염색체들이 적도판위에 나란히 배치되어 하나로 합쳐지기까지 24시간이 소요된다)
난할과 착상
접합자가 형성되고 바로 세포분열이 일어나는데 이런 초기분열을 난할이라고 한다. 난할이 이루어진 수정란의 외부모습이 과일 오디와 비슷하여 상실배라고 부른다. 상실배가 완성된 후 1~2일동안 자궁강에서 자유롭게 떠다니며 착상을 위한 준비를 한다. 상실배는 이후 배포로 성장하여 영양막을 형성한다. 수정후 7일째 배포는 착상을 시작하게 되며 착상이 완성되기까지 7일이 더 걸린다.
배아
수정후 8~9일경에 배아판의 다른면에서 또다른 배포강이 형성되는데 이 강은 난막에 둘러싸이며 난황낭을 형성하고 배아발달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난황낭의 기능:자궁-태반 간 순환이 이루어질 때 까지 2-3주간 배아에게 영양공급, (간에서 조혈작용이 이루어질때까지) 6주간 초기 혈액세포 생성, 원시 소화관의 부분 형성, 6주 말경 소화관 중간부위에서 떨어져 재태기간이 지남에 따라 소실
배아의3배엽 세포층은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으로 구분되고 분화된다.
-외배엽:피부의 상피, 머리카락, 피지샘, 땀샘, 코와 입(의 점막), 침샘, 치아의 에나멜질, 젖샘, 신경계 구성
-중배엽: 근육, 뼈, 연골, 치아의 상아질, 인대, 건, 신장, 비장, 자궁, 난소, 고환, 심장, 혈액, 림프와 맥관계, 심막, 흉막 및 복막강 구성
-내배엽:소화기계 상피, 호흡기계(코 제외), 흉선, 간장, 췌장, 방광, 요도, 갑상샘 및 고막형성
기형발생의 경우 이론적으로 수정후 20일~55일 사이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수정후 20일 이전은 착상전기로 문제가 발생할경우 유산되거나 정상회복되는 시기이며 수정후 55일 이후는 태아기로 성장과 발육에 장애를 가질 수 있는 시기이다.
성(별)분화
성분화는 Y염색체 유무에 달려 있으며 배란 7주 전까지는 남녀 구별이 되지 않는다. 정상XX염색체 배아는 진행이 느려 난소가 11~12주에 발달되기 시작한다. 여성이 될 배아가 너무 많은 안드로겐을 지니거나, 반대로 남성이 될 배아가 너무 적은 안드로겐을 지니게 되면 성기발달이 모호해 진다.
태아
마지막 월경후 약 10주 후 태아기가 시작된다.
태아의 발달
-~16주: 체중200g, 눈, 귀, 코는 제 모습을 갖추게 됨. 팔다리 균형이 적절하고 머리카락과 솜털이 생기기 시작.
-~20주:체중435g, 솜털같은 체모가 온몸을 덮음, 다리가 꽤 길어지고 속눈썹, 모발이 형성됨. 기름샘이 나타남, 갈색지방이 신장, 흉골, 목 뒤에서 형성되기 시작함
-~24주:체중780g, 태아의 머리가 제법 커지며 피부는 지방조직이 축적되고 땀샘이 형성되며 붉고 주름잡혀 있음
-~28주:체중1200~1250g, 손톱이 나타남
-~32주:체중1800~2100g, 피하지방이 축적되기 시작 몸이 좀더 둥글어짐.
-~36주:체중2900g, 몸체가 포동함 발바닥에 한두개의 지문이 나타남
-~40주:체중3200g, 많은 태지가 형성되며 솜털은 거의 사라짐, 머리털이 풍성해짐, 코와 액와 연골이 뚜렷해지고 발바닥의 지문이 표면2/3를 차지하며 손톱이 손끝까지 자람
생존
생존력: 자궁밖에서 태아가 살 수 있는 능력. 현대 의학의 발전으로 생존력은 수정후 20주(마지막 월경(LMP) 22주, 태아체중 500g 이상)으로 생존력 한계가 변경되었다. 자궁밖에서의 생존력은 중추신경계의 기능과 폐의 산화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건강지킴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아 심장박동 모니터링법 정리 (0) | 2022.03.24 |
---|---|
태아의 건강 검사 정리 (0) | 2022.03.23 |
분만법의 종류 비교 (0) | 2022.03.21 |
임신중 발생하는 다양한 증상(불편감) (0) | 2022.03.20 |
임신 중 영양소 관리 요약 정리 (0) | 2022.03.19 |
댓글